얼마전 해외 유명 3D Scan Data 커뮤니티를 통해
예간아이티 A.eyes에 관한 문의가 있었습니다.
3D Scan Data를 다루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는 고충이 있죠. 저희도 그런 고충을 겪으며 해결책으로
만들어낸 것이 공간 디지털 트위닝 툴 “A.eyes” 입니다. A.eyes를 활용하여 건물 3D Scan Data를 보정해달라는 요청 이었는데요. 보정한 건물에 대한 3D Scan data의 결과는 굉장히 만족스러웠고 이를 받아본 저희의
고객은 이와 같이 말했습니다.
“Wow. This is a perfect result. Please, think of this product as of a service to be included in pipeline: Scanning (photo, laser, drone) – Photogrammetry – Plane and feature detection – BIM export. I would like to offer such bundle.”
그 과정을 여러분에게 공개합니다
1. Scan Data 보정 의뢰
3D Scan Data를 다뤄본 경험이 있다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고민이 있죠?
스캔데이터를 표준화된 CAD로 불러오기 힘들고
이를 BIM로 사용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건축 부분인 창문, 바닥등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는거
다들 잘 알고 계시죠?
모르시는 분은 없을거에요 ㅋㅋ
저희의 고객은 A.eyes가 이런 부분을 해결해 줄 수 있는지
테스트 해보기를 원했어요
2. Scan Data 받기
그래서 테스트에 적극 응하기로 했답니다.
약 1.5기가바이트의 테스트용 샘플 스캔데이터를 받아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한지
그리고 A.eyes가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스캔 데이터를 전달 받았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자세히 볼 수 있어요
3. A.eyes로 Scan Data 만지기
예간아이티 공간 디지털 트위닝 툴 A.eyes로 전달받은
카메라가 담긴 fbx와 undistorted 사진들을 가지고
보정 작업에 돌입했습니다.
하나하나 정성을 들여 모델링을 하고
기존 스캔데이터를 깔끔하게 만지기 시작했죠
4. 하나씩 깔끔하게 Scan Data 만지기
원본 스캔데이터는 다듬어지지 않아 깔끔한 데이터를
얻기 힘들었어요.
그래서 A.eyes로 하나씩 다듬어 가며 모델링 작업을 하였고,
하나씩 조각을 모으듯이 만들어 정확하고,
깔끔한 메쉬를 만들어 냈습니다.
5. 와이어 프레임과 메쉬 전후 비교!
와이어 프레임과 메쉬 전후 비교를 보시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실히 알 수 있을거에요^^
어떠세요? 눈에 띄게 스캔 데이터가 깔끔하고 정확해 졌죠?
A.eyes로 스캔 데이터를 만졌기에 가능하답니다 ㅋㅋ
6. 보정된 Scan Data 전달
보정을 완료한 후 고객에게 전달 드렸습니다.
그랬더니 다음과 같이 답변이 오더라고요!
고객이 직접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했을 때보다 훨씬
정확하고 깔끔한 Scan Data에 감탄 하셨죠 ㅋ
그리고 더군다나 저용량!
다양한 파일 포맷으로의 변환은 덤으로 말이죠
이렇듯 A.eyes는 3D Scan Data를 최적화 시켜 BIM으로
활용이 가능하다거~
아시겠죠?